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리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고려시대

by yeon_jin2 2019. 10. 9.

 

 

 

고려의 태조

-민생안정책: 조세감면(1/10), 흑창 + 역분전

-북진정책: 서경을 북진정책 전진기지로

-정계, 계백료서 저술: 신하의 도리 강조

-훈요 10: 정책 방향 제시

-호족 정책

->우호 정책: 결혼 정책, 사성 정책

->견제 정책: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고려의 중앙행정조직

-2(중서문하성, 상서성) 6

-중추원: 왕명출납과 군사 기밀을 담당 기구

-어사대: 관리 감찰 기구

-삼사: 세금의 출납과 회계 담당 기구(언론기능 X)

 

재추회의(재신+추밀)

-도병마사(=>도평의사사): 군사 관련 문제 회의기구

-식목도감: 법제와 격식을 논의한 회의기구

대간(낭사+어사대)

-언쟁, 서경, 봉박의 권한, 언론기능

 

 

고려의 지방행정조직

-5(행정 구역) 양계(군사 지역)

-5도에 안찰사, 5도의 하위행정구역엔 수령 파견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속군, 속현은 향리가 실질적으로 지배

-특정한 산업에 종사하는 특수행정구역인 향부곡소가 존재

 

+ 고려의 중앙군: 26

+ 고려의 지방군: 군적X

5-주현군(예비군), 양계-주진군(상비군)

 

 

고려의 무신정권

 

최고 권력기구

군사

사회 동요

이의방

중방

 

조위총(서경)

정중부

 

망이망소이 난

(공주명학소)

정대승

도방

김사미효심 난

(신라부흥 표방)

이의민

 

 

최충헌

교정도감

도방

만적의 난(개경)

->신분해방 주장

최우

+정방(인사권)

서방(문신)

+야별초

삼별초

 

 

 

고려의 대외관계

-별무반: 윤관, 기병인 신기군, 보병인 신보군, 승병부대인 항마군으로 구성

-> 여진족 정벌, 동북 9성 개척

-삼별초: 배중손, 강화도진도제주도

 

 

고려의 원 간섭기

-원의 지배: 쌍성총관부, 탐라총관부, 동녕부 설치

-내정간섭: 정동행성 이문소

-관제개편: 2첨의부/64/중추원밀직사

-공녀 징발(결혼도감), 몽골풍(변발, 호복)

권문세족

-도평의사사에 참여하여 권력장악, 음서, 정방

-대농장 소유

 

 

고려후기 공민왕 개혁

-쌍성총관부 수복, 정동행성 이문소 폐지

-전민변정도감 설치: 신돈을 등용해 대농장 타파하여 왕권강화, 재정확보

-정방 폐지, 권문세족(친원 세력) 숙청

-몽골풍(변발, 호복) 금지

 

 

고려의 토지제도(전시과): 세금을 걷을 권리

-태조: 역분전, 논공행상 성격

-경종: 시정전시과, 현직 + 인품 고려

-목종: 개정전시과, 현직

-문종: 경정전시과, 현직

 

 

고려의 민생안정책

-제위보 운영, 상평창(물가조절기구) 설치, 혜민국, 동서대비원

 

 

고려의 교육

-중앙: 국자감(유학부, 기술학부)

-지방: 향교

-문관(명경과, 제술과), 기술관(잡과), 승려(승과)

-무과는 시행 X

-사립교육기관: 사학(9재학당-by최충 = 문헌공도)

-국자감에 전문7재 강좌 , 양헌고(장학기관)

+ 성리학 전래(by 안향, from )

 

 

고려시대의 삼국사기 vs 삼국유사

-삼국사기(by 김부식): 기천체 형식, 현존 가장 오래된 역사서

-삼국유사(by 일연): 불교사 중심의 민간설화

+ 제왕운기(by이승휴) = 고조선 단군 언급

 

 

고려 불교

고려 전기

고려 후기

의천

지눌

천태종

조계종

교관검수

(교종 + 선종)

정혜쌍수, 돈오점수

(선종 + 교종)

교장 (불경해설서)

수선사 결사운동(선종)

+ 혜심: 유불일치설

 

고려의 문화

건축: 주심포 양식, 배흘림 기둥 -> 다포 양식

: 월정사 89층 석탑(송 영향, 다각다지)

->경천사 10층 석탑(원 영향, 대리석)

불상: 철불유행, 거대불상 유행(호족 영향)

자기: 순청자 -> 상감청자 -> 분청사기

공예: 은입사, 나전칠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