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리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조선시대 2

by yeon_jin2 2019. 10. 10.

 

 

 

조선의 행정조직: 의정부 6/ 8

-의정부: 최고 정책 결정 기관, 3정승 합체제

-의금부: 특별사법기관, 반역

-승정원: 비서

-3: 사헌부(관리감찰), 사간원(간쟁), 홍문관(옥당, 경연 담당)

-한성부: 수도 행정과 치안 담당 기관

-춘추관: 실록 보관, 관리 기관

-성균관: 대성전을 세워, 선현에 제사, 교육기관

 

+최초로 전국에 지방관 파견, 관찰사, 수령 향리(수령보좌, 무보수 명예직)

-유향소: 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

-정재소: 유향소 통제기구

-향도: 매향 활동 등 각종 불교 행사를 주관

 

 

조선의 관리등용제도

-과거: 양인이상

*문과: 서얼, 재가한 여성 자제 응시 불가

-천거: 추천제, 현량과(조광조)

-문음: 2품 이상, 고위관료 자제 임용

-취재: 기술직 하급 관리 시험

 

 

 

조선의 외교 - : 사대 / , 여진: 교린

-쓰시마섬 정벌(by 이종무), 3포 개항

-3포왜란(중종)을묘왜변임진왜란정유왜란기유약조(국교 재개)통신사(외교 사절단)안용복(울릉도,독도영토인정)대한제국칙령41러일전쟁

 

여진(후금)

-46진 개척, 사민(백성이사), 토관(지역 관리), 북평관, 무역소

-광해군중립외교인조반정(by서인)정묘호란병자호란북벌론(효종)백두산정계비(숙종)북학론(정조)간도관리사간도협약

 

 

조선의 토지제도

-공양왕: 과전법, 현직, 수신전, 휼양전(세습o), 경기지역 한정

-세조: 직전법, 현직, 수신전, 휼양전 X

-성종: 관수관급제(국가가 조세줌),

-명종: 녹봉 지급

 

 

조선의 향촌사회

-유향소: 여론 형성

-서원: 인재양성, 제사+교육

-향약: 농민통제, 향촌자치규약

-경재소: 유향소의 품관 관리감독

 

*농민 자치 조직: 향도, 두레

*농민 통제정책: 오가작통제(5가구연대책임),면리제

 

 

이황 VS 이이

이황(-남인)

이이(-노론)

>

<

성학십도

(성리학의 이론 그림으로 설명, 일본에 영향)

성학집요

(군주가 수행할 덕목제시)

이상주의

현실 개혁적

주자서절요

동호문답

 

 

조선의 교육기관

중앙

-성균관(고등): 소과 합격자(입학자격), 제사 + 교육

-4(4부학당, 중등)

 

8

-향교(중등): 제사 + 교육

-서원: 제사 + 교육

*사액서원: 국왕으로부터 편액, 서적 등 받은 서원

*백운동 서원(소수서원, by주세붕)

-최초의 서원, 사액 서원,

-안향(성리학 들여온 자)의 영정을 모시고

 

 

조선 후기 경제

-조세: 영정법(인조)

-공납: 대동법(광해군), 공인 등장, 상품화폐경제

-: 균역법(영조) / 재정확보-결작, 선무군관포

=>조세의 전세화, 금납화 현상

-지대: 타조법(정률제) -> 도조법(정액제)

-상행위:(의주)만상,(한강)경강,(개성)송상,(동래)내상

-보부상(장시유통망), 객주, 여각

-공무역(개시무역), 사무역(후시무역)

 

*전황: 화폐부족현상, 화폐가치, 물가

*도고: 독점적 도매상인, ex, 공인, 시전상인, 거상

*선대제(선불), 덕대(전문경영인) 등장

 

 

조선 후기 신분제 동요

-신분제: 양천제(법제적), 상반제(양반vs비양반)

-납속책, 공명첩, 족보위조 신분상승

-서얼: 규장각 검서관 기용(정조)

-전문직 중인: 대규모 소청운동 전개, 시사(시낭송)

-노비: 도망, 군공, 노비종모법(엄마신분따라)

 

*보학: 족보 연구(양반의 우월함)

*향전: 구향(동성촌, 가부장적, 여성)vs 신향

 

 

성리학의 대안

1. 양명학: 정제두(강화학파), 실천 지행합일

2. 실학: 실사구시, 민족적자주적(국학)

중농학파

중상학파

자영농 육성

생산력 향상

유형원: 균전론(신분에 따라)

이익: 한전론

(영업전, 토지하한제), 6

정약용: 경세유포, 목민심서

여전론(공동소유, 경작)

유슈원: 우서,

사농공상의 직업평등

박지원; 열하일기, 양반전

수레, 선박, 화폐 사용

박제가: 북학의, 서얼출신

소비론(소비>절약)

+ 김정희: 추사, 북한산비=진흥왕 순수비임을 고증

 

 

 

조선 후기 문화

-농가집성(신속): 이앙법,시헌력(서양역법), 지전설

-허준: 동의보감(광해군), 정약용: 마과회통, 거중기

 

서민문화 발달(by 상품화폐경제발달, 서당교육)

-판소리(+사설), 한글소설(홍길동전, 춘향전, 심청전), 한문소설(박지원-양반전,허생전)

-진경산수화: 정선(인왕제색도, 금강전도)

-풍속화: 김흥도, 신윤복 /민화: 까치, 호랑이()

-곤여만국지도(세계지도) / 원근법,음영법 -강세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