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용금융7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3-2장 저축의 가치 2. 저축의 가치 2.1 저축과 이자 ∙단리 -오로지 원금에 대해서만 약정한 이율 적용하여 이자 계산 - FV = PV x [1+(r x n)] Q. 100만원을 연 4%의 이자율로 3년동안 단리로 저축할 경우 수령하게될 세전 원리금은? -> 1,000,000 원 x (1+(0.04x3회)) = 1,120,000 원 ∙복리 -이자에 이자가 붙음, 원금과 이자가 재투자 - FV = PV x (1 + r)ⁿ Q. 100만원을 연 4%의 이자율로 3년동안 복리로 저축할 경우 수령하게 될 세전 원리금은? -> 1,000,000 원 x (1+0.04)3 = 1,124,864 원 * 단리와 복리 비교 -복리는 운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원리금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 -복리는 작은 이자율 차이에도 크게 변화 ※72의 법칙 .. 2020. 1. 14.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장 마무리퀴즈 / 학습내용 정리 Q1. 금융상품은 투자성이 있는 금융상품과 투자성이 없는 비금융투자상품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투자성이란 ‘원금의 손실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 O ) Q2. 금융산업을 선진화하고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도모하며 건전한 신용질서, 공정한 금융거래관행확립과 예금자 및 투자자 등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은 어디인가? ( 금융감독원 ) Q3. 예금자보호법에 의거하여 금융회사가 파산 등으로 예금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예금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예금자를 보호하고 금융제도의 안정성을 유지할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은 어디인가? ( 예금보험공사 ) --------------------------------------------------------------------.. 2020. 1. 12.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3장 금융회사 3. 금융회사 3.1 금융회사의 종류 3.2 은행 ※은행의 업무 ∙고유업무: 수신업무(예적금), 여신업무(자금대출, 어음할인), 환업무 ∙부수업무: 채무보증, 어음인수, 상호부금, 보호예수 등 ∙겸영업무: 집합투자업, 투자자문업, 신탁업, 신용카드업, 퇴직연금사업, 결제대형업무, 방카슈랑스 등 ∙영업 지역에 따른 구분: 시중은행(전국) / 지방은행(특정지역 기반) ∙설립 목적에 따른 구분: 일반은행 / 특수은행 *특수은행: 수출이나 산업발전이라는 국가의 목표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 EX.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 농협은행, 수협은행 3.3 비은행 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저축은행) -주로 지역 서민들과 기업을 대상으로 여수신 업무 -신용도 낮은 개인이나 기업대상 -대출금리, 예금금리 높음.. 2020. 1. 11.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1장 금융상품 제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1. 금융상품 1.1 금융상품의 속성 1)수익성 -투자에 대한 이자 수익이나 가격 상승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 -수익성↑→ 투자 위험↑ 2)안전성 -원금을 손실하지 않고 어느 정도 보존할 수 있는가를 나타냄 -원금 회수 가능성↑→ 안전성↑ -원금 손실 가능성↑→ 안전성↓ 3)유동성 -투자한 돈을 얼마나 빠르고 쉽게 한금으로 바꿀 수 있는가(환금성) -현금으로 바꾸는 데 손실을 보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면 → 유동성↓ 1.2 금융상품의 종류 1)저축상품 -수익성보다는 안전성과 유동성이 높은 금융상품 -목적에 따라 입출금 자유로운 보통예금/ 목돈마련 정기적금 / 목돈불리기 정기예금 등 가입 *예금자보호로 원금+이자 포함 5천만원 보호 - 새마을금고/신협 제외 ※예ㆍ적금 관련 유.. 2019. 11. 1.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장 마무리퀴즈 / 학습내용 정리 Q1. 경제활동은 경제주체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지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 O ) Q2. 국민경제의 순환은 국내에서만 이루어진다. ( X ) -우리나라같은 개방경제는 생산, 분배, 지출 활동에 있어 해외부문의 역할이 큼 Q3.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나 소비가 줄어들어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외국자본의 유입이 줄어 환율이 상승한다. ( X ) -외국자본의 유입이 늘어나서 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 Q4.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 ( O ) Q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코스닥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나타낸 지수이다. ( X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코스피이.. 2019. 11. 1.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2장 주요 금융지표 2. 주요 금융지표 2.1 금리(이자율) ※금리란? -기간당 원금에 대한 이자비율 : 이자율 또는 금리 -금리는 기간에 따라 달라짐(보통 1년이 기준) 금리=이자 -> 금리 부담이 크다 금리=이자율 -> 금리가 높다 -자금이라는 상품의 가격 (대출가격 X) -원칙적으로 대부자금시장에서 결정되는 균형가격 [연습문제] 500만원을 빌려주고 1년 후 550만원을 받았다면 이자율은 얼마인가? ① 10% ② 연 10% ③ 10 ※금리의 변화 -경기 상승 시 기업은 생산, 고용을 늘리고 시설 확장 위해 더 많은 자금 필요  금리 상승 -가계와 기업의 자금수요가 크지 않은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자금공급을 늘리면  금리 하락 =>즉, 자금수요가 늘면 금리 상승, 자금공급이 증가하면 금리 하락 ※금리의 결정 -돈에 대.. 2019. 10. 31.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1장 경제의 순환과 금융 제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 경제의 순환과 금융 1.1 국민경제의 순환 ※생산물 시장 vs 생산요소 시장 -생산물 시장: 생활에 필요한 재화ㆍ서비스가 거래되는 시장 -생산소요 시장: 노동력ㆍ자본과 같이 생산에 필요한 요소를 거래하는 시장 *수요자와 공급자도 이해하기 1.2 경제의 순환과 금융 -자본주의 경제는 시장을 근간으로 하며 -시장의 경제주체로는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을 결정하는 공급자와 수요자, 시장의 규율과 규칙을 정하고 정상적인 거래행태를 감독하는 정부, 그리고 거래의 수단이 되는 자금의 흐름을 용이케 하여 시장을 유지시켜주는 금융으로 구성 GDP = C(가계소비) + I(기업투자) + G(정부지출) + NX(순수출) = Y(총생산) -금융은 거시경제의 각 부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2019.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