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마무리 퀴즈 >
Q1. 경제활동은 경제주체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지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 O )
Q2. 국민경제의 순환은 국내에서만 이루어진다.
( X ) -우리나라같은 개방경제는 생산, 분배, 지출 활동에 있어 해외부문의 역할이 큼
Q3.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나 소비가 줄어들어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외국자본의 유입이 줄어 환율이 상승한다.
( X ) -외국자본의 유입이 늘어나서 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
Q4.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
( O )
Q5.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코스닥으로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의 시가총액을 기준시점과 비교하여 나타낸 지수이다.
( X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는 코스피이다.
-----------------------------------------------------------------------------
< 제1장 학습내용 정리 >
-경제활동은 경제주체들이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고 분배하고 지출하는 활동을 말한다.
-한 국가의 경제는 생산ㆍ분배ㆍ지출의 과정을 반복하며 순환한다. 생산ㆍ분배ㆍ지출과 같은 경제활동이 원활하게 일어나기 위해서는 각 경제주체 간에 일어나는 거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돈의 양이 충분해야 하고 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금융시장이 잘 발달되어 있어야 한다.
-국민경제의 순환은 국내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개방경제는 생산, 분배, 지출 활동에 있어서 해외부문의 역할이 매우 크다. 우리나라 기업이 생산한 생산물을 외국으로 수출하고 석유, 식량, 원자재 같은 것들은 외국에서 수입하기 때문이다.
-금리는 자금 거래를 중개하는 가격으로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투자나 소비가 줄어들어서 물가가 안정될 수 있고 외국자본의 유입이 늘어나서 환율이 하락할 수 있다.
-환율은 외국돈의 가격이면서 수출상품과 수입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이다. 환율이 상승하면 원화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수출 상품의 가격 경쟁력이 생긴다. 반대로 수입상품의 가격은 상승하여 물가 상승 압력이 생길 수 있다. 외국의 금융자산에 투자할 때는 국가간 수익률 차이뿐만 아니라 만기시의 환율 변동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 해외 투자의 경우에 만기에 환율이 하락하면 원화로 환산할 때 실제 수익은 감소할 수 있다.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가격을 주가라고 하고 이를 물가지수처럼 지수화한 것이 주가지수이다. 주가지수는 주식의 평균적인 가격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에는 코스프가 있다.
'전공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2장 금융시장 (0) | 2019.12.13 |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1장 금융상품 (0) | 2019.11.0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2장 주요 금융지표 (0) | 2019.10.3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1장 경제의 순환과 금융 (0) | 2019.10.31 |
[노사관계론] 요약정리 - 제8-5장 체계적 무노조기업의 경영상 특징 (0) | 2019.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