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장 금융상품과 금융시장
1. 금융상품
1.1 금융상품의 속성
1)수익성
-투자에 대한 이자 수익이나 가격 상승 이익을 기대할 수 있는 정도
-수익성↑→ 투자 위험↑
2)안전성
-원금을 손실하지 않고 어느 정도 보존할 수 있는가를 나타냄
-원금 회수 가능성↑→ 안전성↑
-원금 손실 가능성↑→ 안전성↓
3)유동성
-투자한 돈을 얼마나 빠르고 쉽게 한금으로 바꿀 수 있는가(환금성)
-현금으로 바꾸는 데 손실을 보거나 시간이 오래 걸리면 → 유동성↓
1.2 금융상품의 종류
1)저축상품
-수익성보다는 안전성과 유동성이 높은 금융상품
-목적에 따라 입출금 자유로운 보통예금/ 목돈마련 정기적금 / 목돈불리기 정기예금 등 가입
*예금자보호로 원금+이자 포함 5천만원 보호 - 새마을금고/신협 제외
※예ㆍ적금 관련 유용한 서비스
1. 예ㆍ적금 만기일 임의지정 서비스
2. 예ㆍ적금 자동해지 서비스
3. 정기예금 자동재예치 서비스
4. 정기예금 일부해지 서비스
5. 예ㆍ적금 만기시 휴일 전ㆍ후일 선택 서비스
6. 보안계좌 서비스: 은행 창구에서만 거래 가능, 인터넷뱅킹 제한
2)대출상품
-돈이 필요한 가계나 기업 등에 돈을 빌려주고 일정기간 후 상환하도록 하는 금융상품
-돈을 빌려주는 대가로 이자를 수취
∙담보대출: 자동차, 예금 등을 담보로 저당권ㆍ질권을 설정하고 돈을 빌려줌
∙신용대출: 담보없이 개인이나 기업의 신용으로 대출
→ 담보대출 금리 < 신용대출 금리
*5%채권을 가지고 있는데 시장금리가 2%로 떨어져서 채권이 2%, 5% 채권이 돌아다니면 기존의 5%채권을 사람들이 서로사려고 한다
->시장금리가 떨어지면 기존의 채권가격은 올라간다
3)금융투자상품
*투자성: 투자한 원금의 손실 가능성이 있는 경우
-금융투자상품: 투자성 有 / 비금융투자상품: 투자성 無
∙금융투자상품
-장래에 이익을 얻거나 손실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금융상품
-투자성과 + 손실위험
∙주식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
-발행 주식의 액면 금액이 회사의 자본금이 됨
-주식회사의 주인인 주주가 가지는 권리와 지분
-개인: 재산 증식을 위한 투자 대상으로 활용
기업: 안정적인 산업 자본 조달
∙채권
-정부, 지방자치단체,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법인 및 주식회사 등이 투자자들로부터 장기의 자금을 조달
-일정기간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 만기에 원금 상환의 조건을 명시한 유가증권
-채권의 신용등급↑ → 채권 수익률↓
채권의 신용등급↓ → 채권 수익률↑
∙펀드
-다수인으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 채권, 기타 금융상품에 나누어 투자해서 수익, 손실 등의 결과를 다시 투자자에게 배분하는 투자상품(간접 투자)
4)보험상품
-질병, 재해, 사망 등 각종 사고와 같은 위험에 대비한 보장을 받기 위해 가입하는 금융상품
-사고가 발생하지 않으면 보험료는 돌려받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
-보험회사의 사업비가 적을수록 보험료가 저렴해져 소비자에게 유리
-생명보험 / 상해질병보험 / 손해보험 + 제3보험(겸업 가능)
-실손형 특약: 보상금액은 실제 치료에 들어간 비용의 범위에서 지급, 중복가입 혜택X
-정액형 특약: 금액 약속, 중복가입이 있더라도 정해진 금액을 중복하여 지급
5)연금상품
-저축, 투자상품처럼 구조면에서 다른 상품과 구분되지 않음
-안정적인 노후생황이라는 특정 목적의 상품으로 형태가 다양한 것이 특징
∙연금저축: 세액 공제 / 연금저축신탁, 연금저축펀드, 연금저축보험으로 구분
∙연금보험: 이자나 수익에 비과세 / 저축성보험
->유동성이 매우 낮게 설계됨
'전공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3장 금융회사 (0) | 2020.01.11 |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2장 금융시장 (0) | 2019.12.13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장 마무리퀴즈 / 학습내용 정리 (0) | 2019.11.0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2장 주요 금융지표 (0) | 2019.10.3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1장 경제의 순환과 금융 (0) | 2019.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