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금융시장
2.1 금융시장의 구성
∙금융시장
-기업, 가계, 정부 등 경제주체들이 금융상품을 거래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여유자금을 운용할 수 있도록 자금수요자와 자금공급자가 만나 금융거래를 하는 곳
∙자금수요자
-기업: 생산설비 마련, 근로자 고용, 설비투자를 위해 장기간 상당자금 동원 필요
-가계: 자동차, 주택구입 등 일시적 대규모 지출
-정부: 조세수입 < 수출
∙자금공급자
-수입, 소득 > 지출
-단순히 돈 보관 X, 자신들이 저축한 돈의 가치가 증가하기를 바람
-투자자가 되어 적극적으로 돈을 증식
2.2 직접금융시장과 간접금융시장
※직접금융
-기업과 같이 자금의 수요자가 발행하는 증권을 자금의 공급자가 직접 매수하여 자금을 이동시키는 방법
-자금을 장기로 조달 가능: 기업의 장기설비 투자를 위한 자금 조달에 용이
1)회사채(채권)
-기업이 일정 기간 후(만기)에 정해진 액면금액과 일정한 이자를 지급할 것을 약속하는 증서
-신용도에 따라 높은 금리를 지불하거나 발행 자체가 어려운 문제 有
2)주식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 주주의 권리와 의무를 나타내는 증서
-기업의 지배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 有
※간접금융
-자금의 공급자와 수요자 사이에 은행 등 금융회사가 일반인으로부터 예금을 받아서 필요한 사람에게 대출해주는 것이 대표적 형태
2.3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
※단기금융시장(자금시장)
-만기 1년 이내의 금융자산이 거래
∙콜시장: 자금과부족을 일시적으로 조절
∙기업어음: 신용상태가 일정 수준 이상의 양호한 기업 또는 금융회사가 단기자금을 조달
∙양도성예금증서: 정기예금에 양도성을 부여한 예금증서
※장기금융시장(자본시장)
-자금수요자가 장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이 발행, 유통되는 시장
∙채권시장: 보통 만기가 1년을 초과하는 회사채, 국채, 통화안정증권 등이 거래
∙주식시장: 만기가 영구적인 것으로 간주
2.4 발행시장과 유통시장
※발행시장
-주식, 채권을 발행하여 투자자로부터 돈을 빌리는 시장
※유통시장
-이미 발행된 채권이나 주식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되는 시장
-만기가 정해진 상품일지라도 쉽게 현금화할 수 있음
-시장가격도 이곳에서 결정 EX. 주식거래소 시장, 채권시장, 선물시장 등
->유통시장에서 유통이 원활하지 않은 주식, 채권은 발행시장에서 인기가 없고
반대로, 발행시장에서 규모가 작고 가격이 낮은 주식, 채권은 유통시장에서도 인기가 없다.
->> 발행시장과 유통시장은 서로 밀접한 관계
2.5 거래소시장과 장외시장 - 유통시장 구분
※거래소 시장
-금융상품을 판매하고 구입하는 장소와 거래의 형식이 일정하게 표준화되어 있는 시장
-모든 거래가 집중 되고 가격 및 거래정보가 누구에게나 잘 알려지며 거래의 익명성 보장
-한국거래소 매개
※장외 시장
-특정한 규칙 없이 거래 당사자 간에 매매
-주로 비상장기업과 정규시장 퇴출기업을 대상으로 필요한 자금조달의 기회를 제공
-증권회사 매개
'전공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4장 금융유관기관 (0) | 2020.01.11 |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3장 금융회사 (0) | 2020.01.1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2-1장 금융상품 (0) | 2019.11.0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장 마무리퀴즈 / 학습내용 정리 (0) | 2019.11.01 |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2장 주요 금융지표 (0) | 2019.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