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1급요약5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개항기 ※흥선대원군 ∙왕권 강화 -비변사X(의정부,삼군부), ‘대전회통’, ‘육전조례’ -경복궁 중건: 원납전, 당백전, 묘지림 벌채 -서원정리, 만동묘 철폐 ∙민생안정 -호포제(양반), 사창제(by지역민), 양전사업 ∙통상수교거부: 척화비 =>> 최익현 탄핵 상소 → 고종ㆍ민씨정권 ※흥선대원군 시기 외교 1. 병인박해: 프랑스 + 천주교 신자 무단침입 2. 제너럴셔먼호: 평양, 박규수 3. 병인양요: 강화도, 양헌수(정족산성), 외규장각 도서약탈 4. 오페르트의 남연군묘 도굴: 충남 예산 5. 신미양요: 강화도, 어재연(광성보), 수자기 약탈 =>> 척화비 세움 ※개항기 문화 -한성순보: 최초의 신문, 순한문체 -한성주보: 최초 상업광고 기재 -독립신문: 최초 민간 신문 -황성신문: 시일야방성대곡.. 2019. 10. 11.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조선시대 2 ※조선의 행정조직: 의정부 6조 / 8도 -의정부: 최고 정책 결정 기관, 3정승 합체제 -의금부: 특별사법기관, 반역 -승정원: 비서 -3사: 사헌부(관리감찰), 사간원(간쟁), 홍문관(옥당, 경연 담당) -한성부: 수도 행정과 치안 담당 기관 -춘추관: 실록 보관, 관리 기관 -성균관: 대성전을 세워, 선현에 제사, 교육기관 +최초로 전국에 지방관 파견, 관찰사, 수령 향리(수령보좌, 무보수 명예직) -유향소: 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 -정재소: 유향소 통제기구 -향도: 매향 활동 등 각종 불교 행사를 주관 ※조선의 관리등용제도 -과거: 양인이상 *문과: 서얼, 재가한 여성 자제 응시 불가 -천거: 추천제, 현량과(조광조) -문음: 2품 이상, 고위관료 자제 임용 -취재: 기술직 하급 관리 시험 .. 2019. 10. 10.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조선시대 1 ※조선의 체제 ∙태조(정도전: 재상중심정치): 경제문감, 불씨잡변 ∙태종 -6조직계제, 사병혁파, 호패법, 양전사업(토지조사) ∙세종 -의정부서사제, 집현전 설치, -여진관련: 4군6진 개척, 사민(백성이사), 토관(지역관리), 북평관, 무역소 -일본관련: 쓰시마섬 정벌(by이종무), 3포 개항 -칠정산(역법서), 향약집성방, 농사직설, 훈민정음, 갑인자(개량된 금속활자) 주조, 앙부일구, 측우기, 자격루, 삼강행실도 => 민족적ㆍ자주적 -공법(조세제도): 전분 6등법 연분 9등법 ∙세조 (through 계유정난) -6조직계제, 집현전 폐지, 경국대전 편찬 시작, 진관체제, 한명회 -수조권: 직전법(현직, 수신전ㆍ휼양전 X) ∙성종 -의정부서사제, 홍문관(경연), 관수관급제 -경국대전 완성, 동국통감(역.. 2019. 10. 10.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고려시대 ※고려의 태조 -민생안정책: 조세감면(1/10), 흑창 + 역분전 -북진정책: 서경을 북진정책 전진기지로 -정계, 계백료서 저술: 신하의 도리 강조 -훈요 10조: 정책 방향 제시 -호족 정책 ->우호 정책: 결혼 정책, 사성 정책 ->견제 정책: 사심관 제도, 기인 제도 ※고려의 중앙행정조직 -2성(중서문하성, 상서성) 6부 -중추원: 왕명출납과 군사 기밀을 담당 기구 -어사대: 관리 감찰 기구 -삼사: 세금의 출납과 회계 담당 기구(언론기능 X) ∙재추회의(재신+추밀) -도병마사(=>도평의사사): 군사 관련 문제 회의기구 -식목도감: 법제와 격식을 논의한 회의기구 ∙대간(낭사+어사대) -언쟁, 서경, 봉박의 권한, 언론기능 ※고려의 지방행정조직 -5도(행정 구역) 양계(군사 지역) -5도에 안찰사, .. 2019. 10. 9.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선사 ~ 삼국시대 ※삼국~남북극시대의 교육&교육기구 -고구려: 중앙-태학(소수림왕) / 지방 - 경당 -백제: 부여 사택지적비(한문학 수준↑) -신라: 임신서기석(유학 교육) -통일신라: 국학(신문왕) -발해: 주자감 ※삼국시대 귀족회의기구 -고구려: 제가회의 -백제: 정사암 -신라: 화백회의(만장일치제) ※삼국시대 불교수용 -고구려: 소수림왕 from 중국 전진 -백제: 침류왕 from 중국 동진 -신라: 법흥왕 through 이차돈의 순교 ※삼국시대 역사 -고구려: ‘유기’ 간추려 신집5권(by이문진, 영양왕) -백제: 서기(by고흥, 근초고왕) -신라: 국사(by거칠부, 진흥왕) ※삼국시대 도교의 영향 -고구려: 사신도 -백제: 금동대향로(불교+도교), 산수문전(산수무늬 벽돌) -신라: 화랑도(낭가사상, by신채호).. 2019. 10.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