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공 정리

[실용금융] 요약정리 - 제1-1장 경제의 순환과 금융

by yeon_jin2 2019. 10. 31.

 

 

 

1장 금융의 역할과 주요 금융지표

 

1. 경제의 순환과 금융

 

1.1 국민경제의 순환

 

생산물 시장 vs 생산요소 시장

-생산물 시장: 생활에 필요한 재화서비스가 거래되는 시장

-생산소요 시장: 노동력자본과 같이 생산에 필요한 요소를 거래하는 시장

*수요자와 공급자도 이해하기

 

 

1.2 경제의 순환과 금융

-자본주의 경제는 시장을 근간으로 하며

-시장의 경제주체로는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량을 결정하는 공급자와 수요자, 시장의 규율과 규칙을 정하고 정상적인 거래행태를 감독하는 정부, 그리고 거래의 수단이 되는 자금의 흐름을 용이케 하여 시장을 유지시켜주는 금융으로 구성

 

GDP = C(가계소비) + I(기업투자) + G(정부지출) + NX(순수출)

= Y(총생산)

 

 

-금융은 거시경제의 각 부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

-경기변동과 금융안정성은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경기안정과 경제발전을 위해 금융의 안정은 필수적인 전제조건

 

 

1.3 금융의 기능

1) 자금의 중개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들의 돈을 모아서 자금이 필요한 사람에게로 전달

-은행은 가계 등이 저축한 돈을 돈이 필요한 가계, 기업 그리고 정부에 대출

-금융시장의 발달에 따라 채권이나 주식을 통한 금융 중개도 활발

 

*금융회사는 신용도 평가, 가격(이자율) 조정, 자금의 만기크기 재조정

 

-자금, 혹은 화폐 역시 시장에서 거래되는 하나의 상품

-자금의 가격은 이자 or 이자율, 자금의 종류와 목적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이자율이 존재

-자금은 눈에 보이지 않으며, 공급과 수요 사이에 존재하는 정보의 비대칭성도 큰 상품

 

2) 거래비용 절감

-금융거래에서 발생하는 비용과 시간을 줄여줌

-현금 외 신용카드, 체크카드 거래, 전자상거래 등

-멀리 떨어진 사람과의 거래, 서로 다른 화폐를 사용하는 외국과의 거래 가능

-비유동성자산을 유동화시킴

 

3) 가계에 자산관리수단 제공

-저축상품 또는 대출상품을 통하여 소득과 지출의 불일치 해소

 

4) 투자기회 제공

-여유자금을 가진 사람들에게 투자의 기회를 제공

-투자자에게 다양한 투자처를 제공 자신에게 알맞은 투자형태 선택 가능

-장기간 자금을 필요로 하는 기업에게 돈을 공급

 

5) 위험관리수단 제공

-금융이 잘 작동하면 불확실성이나 위험(risk)이 적절히 분산되거나 해소

*위험(risk): 경제현상이나 결과가 경제주체의 예상이나 기대와 달라지는 것

-Risk: 분산투자, 파생상품 활용 투자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함

-Danger: 보험 활용 가계 등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사고의 충격을 완화

 

 

1.4 금융안정의 중요성

 

금융기능의 불안정: 경제적 혼란 초래

뱅크런

금융기관이 기업에 대출해준 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행위에서 손실을 입어 건전성이 저해되는 경우, 금융기관에 돈을 맡긴 예금주들이 단기간에 거액의 돈을 인출함으로써 발생하는 예금부족사태를 의미

 

파이어세일

금융기관이 단기적으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보유자산을 헐값에 매각할 경우 비슷한 자산을 보유한 다른 금융기관의 자산가치 역시 이에 영향을 받아 추가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금융산업의 불안정: 경기안정 및 경제발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

-각 금융기관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한 금융기관의 부실이 다른 금융기관 및 금융산업 전체로 전이되는 현상(systemic risk)이 발생할 수 있음

-금융산업의 불안정은 자금의 흐름 및 투자기회 제공 등 시장의 효율성을 저하시켜 경제발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경기호황기에 자금을 더 많이 공급하고 경기불황기에 자금을 지나치게 많이 거두어들이는 금융기관의 습성(procyclicality)이 경기변동의 불안정성을 심화시켜 경기변동의 폭 역시 크게 만들 가능성 역시 존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