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장. 무노조기업의 고용관계
무노조 사업장의 성장 사례
국내외 글로벌기업의 무노조 경영사례 및 관심 증대
-2018년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 선정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기업 1위~4위 : 무노조기업 (Apple, Amazon.com, Alphabet(Google), Berkshire Hathaway)
노조는 하는 일이 비슷하고, 임금수준 비슷하고, 능력의 차이가 많이 나지 않는 경우에 생김
2015년 상반기 임금교섭 타결현황에 관한 고용노동부 발표
->임금인상률 : 무노조사업장 4.5%, 유노조사업장 3.3%
무노조경영에 대한 다양한 관점
아마존닷컴 : 2014년 첫 노조결성 투표에서 압도적 표차로 노조결성 부결
- 사측: 직원들이 아마존과 직접소통을 선호한 결과로 해석
- 노측: 사측의 강한 압박에 따른 결과로 해석
->>다른회사의 무노조같은 경우 임금도 많이 주고 상황도 좋은데, 세계적 회사이면서 무조건 무노조 정책을 하면서 종업원들에게 월급도 별로 안주고 일은 죽도록 시켜서 수익을 냄
무노조 기업이 좋은회사도 있고, 나쁜 회사도 있다. 즉, 제도가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른 것
1. 무노조기업 등장의 배경
1.1 노조조직률의 하락 -> 노조 조직률 하락으로 노동쟁의도 감소 추세
1.2 노조조직률 하락의 원인
-노동조합 조직률의 하락현상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전세계 공통적인 현상
경제의 구조적 변화
-전통적 기반이던 블루칼라 노동자 증가 정체 및 서비스 화이트칼라 직종의 확대
-생산직 노동자의 수는 소규모 증가
-행정 관리직•전문직•판매직은 거의 모든 국가에서 증가하였기 때문
노동력 구성의 변화
-노조 조직률이 낮은 여성•고령•비정규직 및 외국인 인력 증대 및 노조를 조직하는 성향이 강한 20세 이상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 감소
신자유주의적 풍조 영향
-1980년대 이후 많은 국가의 정부에서 노조에 대한 적대적 정책
각종 개인차원의 고용관련 보호법안 통과로 집단노사관계의 필요성 감소
반노조적인 사회•정치적인 분위기에 발맞춘 사용자들의 노조회피전략
우리나라도 비슷한 요인
-노조조직률이 낮은 서비스 및 IT산업이 급성장
-여성•화이트칼라•비정규직 증대
-사용자들의 노동조합 기피 및 무노조경영을 선호
2. 무노조기업의 노조화
2.1 노조화 이론
-노조화는 직무불만족과 노조의 수단성의 함수
->직원들의 직무불만족이 높고 노조가 이를 해소할 수 있다고 믿을 때 노조화의 가능성↑
->직무불만족↓, 노조의 수단성↓ 노조화의 가능성↓
직무불만족
-고용안정, 임금, 상급자, 근로조건에 대한 불만 등 직무불만족이 높으면 직원들은 이직과 노조결성의 두 가지 선택에 직면하게 됨
노조의 수단성
-불만이 많은 직원들이 노조를 통하여 자신들의 직무 불만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음
노조의 수단성이 높으면 직무불만족한 직원은 이직보다는 노조결성을 택하게 됨
2.2 노조 결성 이유
1. 공정하지 않고 일관성 없는 직원처벌로 인사문제를 경영층이 즉흥적으로 결정한다는 인상
5. 회사의 경영성과에 대하여 직원들에게 전혀 알리지 않음
10. 사고나 질병의 위험이 높은 작업장 환경
13. 임금과 수당이 경쟁기업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전공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사관계론] 요약정리 - 제8-5장 체계적 무노조기업의 경영상 특징 (0) | 2019.10.07 |
---|---|
[노사관계론] 요약정리 - 제8-3,4장 무노조기업 노조화 방지전략, 유형 특징 (0) | 2019.10.07 |
[노사관계론] 요약정리 - 제7-3장 자본참가제도 (0) | 2019.10.06 |
[노사관계론] 요약정리 - 제7-2장 성과참가제도 (0) | 2019.10.05 |
[노사관계론] 요약정리 - 제7-1장 임금제도 (0) | 2019.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