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리

[AFPK 투자설계] 핵심요약 정리 - 2장 경제환경2

by yeon_jin2 2019. 10. 14.

 

환율

재정환율 1$=1,000, 1$=¥110

1/100¥ = 1,000/110 ×100 =909

 

매입률: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외환을 살 때 적용환율

매도율: 은행이 고객에게 외환을 팔 때 적용환율

(현찰 > 전신환 > 여행자수표)

 

-경사수지↑ → 외환공급↑ → 원화가치↑ → 환율

-경제성장↑ → 신뢰도↑ → 원화가치↑ → 환율

-실질이자율↑ → 원화가치↑ → 환율

-통 화 량↑ → 물가↑ → 원화가치↓ → 환율

-물가↑ → 수입↑ → 외환수요↑ → 환율

 

-환율↑ → 수출, 수입, 국내물가,

외자도입기업의 원리금상환부담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물가상승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경기후퇴, 불황 동반

디스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났지만, 디플레이션에는 빠져있지 않은 상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 후퇴&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의 영향

-고정수입자들의 실질소득 감소

-채무자는 원리금상환부담

-금융자산 < 부동산자산

-수출(가격경쟁력), 수입

 

 

국제수지

-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자본수지: 자본이전, 비생산, 비금융자산

-금융계정

 

*거주자가 외국에 투자하여 벌어들인 배당금과 이자는 경상수지-본원소득수지에 기록

*경상수지 흑자

-장점: 국민소득, 고용, 물가안정, 경기부양책 사용용이 등

-단점: 통화관리 어렵고, 무역마찰 초래

 

 

실업

-마찰적 실업: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자발적 실업, 노동시장의 불완전성에 기인

-구조적 실업: 어떤 지역, 산업에서의 수요공급 불일치

-경기적 실업; 총수요부족, 일자리부족으로 야기

(노동시장 불균형)

 

*완전 고용

-‘경기적 실업이 없는 상태

-완전고용이라고 해서 실업률이 ‘0’이 아님

 

 

소득분배지표

10분위 분배율

= 최하위 40%점유율 / 최상위 20%점유율

-0~2상의 값, 값이 클수록 평등한 소득분배

-0: 완전불균등, 2: 완전균등

-0.55이상이면 소득분배 양호, 0.3이하: 소득불균등

-특정소득계층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O,

국민전체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X

로렌츠곡선

-대각선에 가까울수록 공평

-곡선이 교차시 판단불가능

 

지니계수

-a/(a+b)

-0: 완전균등, 1:완전불균등

0.4이상: 불균등으로 해석

-특정소득계층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X,

국민전체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O

 

 

경기예측

1) 개별경제지표에 의한 방법

-GDP(국내총생산)

-상당기간 경과 후 추계가능,

-생산활동 + 수요동향까지 살펴보는 종합적 지표

2) 종합경기지표에 의한 방법

-CI(경기종합지수)

-(+): 경기상승, (-): 경가하강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전환점, 속도 분석가능

-시차에 따라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 구분

 

3) 경제심리지표에 의한 방법

-BS(기업경기실사지수) , CSI(소비자동향지수)

-0~200, 100초과: 경기 긍정적 입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