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재정환율 1$=1,000₩, 1$=¥110
1₩/100¥ = 1,000/110 ×100 =909
∙매입률: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외환을 살 때 적용환율
∙매도율: 은행이 고객에게 외환을 팔 때 적용환율
(현찰 > 전신환 > 여행자수표)
-경사수지↑ → 외환공급↑ → 원화가치↑ → 환율↓
-경제성장↑ → 신뢰도↑ → 원화가치↑ → 환율↓
-실질이자율↑ → → 원화가치↑ → 환율↓
-통 화 량↑ → 물가↑ → 원화가치↓ → 환율↑
-물가↑ → 수입↑ → 외환수요↑ → 환율↑
-환율↑ → 수출↑, 수입↓, 국내물가↑,
외자도입기업의 원리금상환부담↑
※물가지수
∙인플레이션: 물가상승
∙디플레이션: 물가 하락&경기후퇴, 불황 동반
∙디스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에서 벗어났지만, 디플레이션에는 빠져있지 않은 상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 후퇴&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의 영향
-고정수입자들의 실질소득 감소
-채무자는 원리금상환부담↓
-금융자산 < 부동산자산
-수출↓(가격경쟁력↓), 수입↑
※국제수지
-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자본수지: 자본이전, 비생산, 비금융자산
-금융계정
*거주자가 외국에 투자하여 벌어들인 배당금과 이자는 경상수지-본원소득수지에 기록
*경상수지 흑자
-장점: 국민소득↑, 고용↑, 물가안정, 경기부양책 사용용이 등
-단점: 통화관리 어렵고, 무역마찰 초래
※실업
-마찰적 실업: 더 나은 일자리를 찾기 위한 자발적 실업, 노동시장의 불완전성에 기인
-구조적 실업: 어떤 지역, 산업에서의 수요ㆍ공급 불일치
-경기적 실업; 총수요부족, 일자리부족으로 야기
(노동시장 불균형)
*완전 고용
-‘경기적 실업’이 없는 상태
-완전고용이라고 해서 실업률이 ‘0’이 아님
※소득분배지표
∙10분위 분배율
= 최하위 40%점유율 / 최상위 20%점유율
-0~2상의 값, 값이 클수록 평등한 소득분배
-0: 완전불균등, 2: 완전균등
-0.55이상이면 소득분배 양호, 0.3이하: 소득불균등
-특정소득계층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O,
국민전체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X
∙로렌츠곡선
-대각선에 가까울수록 공평
-곡선이 교차시 판단불가능
∙지니계수
-a/(a+b)
-0: 완전균등, 1:완전불균등
0.4이상: 불균등으로 해석
-특정소득계층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X,
국민전체의 소득분배상태 표시 O
※경기예측
1) 개별경제지표에 의한 방법
-GDP(국내총생산)
-상당기간 경과 후 추계가능,
-생산활동 + 수요동향까지 살펴보는 종합적 지표
2) 종합경기지표에 의한 방법
-CI(경기종합지수)
-(+): 경기상승, (-): 경가하강
-경기변동의 방향, 국면, 전환점, 속도 분석가능
-시차에 따라 선행지수, 동행지수, 후행지수 구분
3) 경제심리지표에 의한 방법
-BS(기업경기실사지수) , CSI(소비자동향지수)
-0~200값, 100초과: 경기 긍정적 입장多
'자격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FPK 투자설계] 핵심요약 정리 - 4장 금융시장 (0) | 2019.10.15 |
---|---|
[AFPK 투자설계] 핵심요약 정리 - 3장 투자수익률과 위험 (0) | 2019.10.15 |
[AFPK 투자설계] 핵심요약 정리 - 1장 투자설계 프로세스, 2장 경제환경1 (0) | 2019.10.14 |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개항기 (0) | 2019.10.11 |
[한국사 고급] 핵심요약 정리 - 조선시대 2 (0) | 2019.10.10 |
댓글